정치 & 인물

이명박이 평생 후회 할 일

리멘시타 2013. 3. 30. 10:01

 

 

 

                                                  이명박이 평생 후회 할 일


이명박대통령 퇴임 功過
이명박은 대통령 재임중
잘한 것도 있고 잘 못한 것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명박대통령은 대한민국에
빼도박도 못할 쇠말뚝을 박아 놓고 떠난다

격국 이명박은 대통령을 안한것이
대한민국에 백번 좋았다는 생각이든다

그의 모든 공을 다 합쳐도
이 쇠말뚝의 깊은 독에 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앞장서 이명박을 대통령 만들고
옹호한 세력들도 함께 책임을 느껴야 한다.

보수우익의 입장이라면 이명박은
타산지석으로 삼을 인물이지
다시 기억할 인물 이 아니란 생각이다

이명박은 이나라에
민족의 역적중의 역적이다.

국민들이 이 나라
선거사상 최고의 표를 주어 당선시켰다.

빨갱이 멸종시켜달라고 그러나
그는 정반대 로 빨갱이를
엄청나게 키워놓고 민족의 역적이 되었다.

이명박이 대통령의 권력으로
대한민국에 남긴 천추의 한(恨) 이 될 3가지

1. 천수를 다하고 죽은 김대중을 택도 아니게
국장에다 동작동 국립묘지 그것도
이승만 박정희 대통령 묘사이에 안장한 것.

국무회의 의결을 무시하고 현충원
법규를 무시하며 제멋대로 한 짓이다 용서할 수 없다

김대중은 예의를 다해도 국민장이며
대전현충원이나 망월동 국립묘지로 가야했다

산 사람은 평가에 의하여 지위나 공과를 바꿀 수도 있지만
죽은 사람의 묘는 어찌하기 어려운 게 한국적 현실 아닌가?

2. 종북세력의 거점인 민족문제연구소가 조작해 올린
박정희 대통령 친일파 인명사전을 슬그머니 용인한 짓

이명박 자신은 그동안 출세하고 돈 버는 데만
정신이 팔려 무식해 몰랐다 하더라도
대통령이니만큼 사실관계를 알아 보는 건 간단한 일이다

따라서 억지 조작이 눈에 보일 정도인 이 사안은 사실관계를
인정할 수 없다는 상식적인 언급 으로 물리치기만 했어도
오늘날 박정희 친일이 교과서에 공인 받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이명박은 박정희 음해가 문제아니라
수준 떨어지는 음해공작에
대한민국 정통성을 부인하는 공작에 가세한 것이다

3. 국고 20~30 조를 쏟아부어가며 회복불능으로
만들어놓은 4대강이다 강만 버려놓은 게 아니라
이로서 소실된 토지도 전남도만큼이나 된다 한다

그렇잖아도 농경지가 부족한 작은 나라가 천문학적인
국고를 단기간에 강바닥에다 쏟아 붓는 바람에
비생산적인 편중투자로 나라전체의 경제까지 위축시켰다

대통령의 권한을 상식이하의 짓에다 제멋대로
강행한 이 결과는 청와대비서진과
각료들이 공동으로 책임져야할 엄중한 사안이다

내 주변의 경험상 이번 대선에서 박근혜대통령을
반대한 48% 중 최소한 10% 이상은
이 4대강사업에 대한 반감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결국 이명박대통령이 공적과시를 위해 국민을 속인
것이며 이로서 국익에 엄청난 손해와 피해를 끼친 것이다

다 죽은 좌파는 살려내고
보존육성 해야 할 우파의 중심은 죽이려 들었다.

이명박이 대통령자리에 올라
만든 첫 작품이 소위 친박 학살이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집권기간 내내
박근혜 제거가 국정의 1순위인 듯 보였다

국민을 속인 것이며 이로서
국익에 엄청난 손해와 피해를 끼친 것이다

대한민국에 이런 깊은 상처를 남기고 이제 석양으로
사라지는 이명박정권을 보며 국민들은 무엇을 생각할까?
대한민국에 치명적인 피해와 독을 남긴 건 어떻게 설명할 텐가?

.

                                                          메일로 받은 글

                                                잘한 업적도 많습니다.

                                               세월이 좀더 지나봐야 ~ ㅎ 

    .

     

'정치 &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 청와대 관저와 본관의 24시  (0) 2013.04.08
어느날 갑자기-경제 위험 데이타  (0) 2013.04.03
서울 불바다의 가능여부  (0) 2013.03.29
정부조직 개편 결과  (0) 2013.03.23
오나시스를 아시나요  (0) 2013.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