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인물

청와대 정무수석등, 6개 수석비서관 내정

리멘시타 2013. 2. 19. 16:18

                            이정현 정무수석 내정자

 

 

 

 

[앵커멘트]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정무수석 등 청와대 6개 수석비서관 인선을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새 정부 내각과 청와대 주요 인선이 사실상 마무리됐습니다.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박기현 기자!

먼저 오늘 오전 발표된 청와대 인선 내용을 정리해주시죠.

[중계 리포트]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은 오전에 이곳 공동기자회견장에서 청와대 인선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어제 청와대 비서실장과 국정기획수석 등을 발표한 데 이어 오늘 나머지 비서관 6명을 모두 발표한 건데요.

우선 청와대 정무수석에는 이정현 전 의원이 내정됐습니다.

이 내정자는 18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현재 당선인 비서실의 정무팀장을 맡고 있습니다.

경제수석에는 재경부 정책국장과 차관보를 지낸 조원동 조세연구원장을 내정했고, 외교안보수석에는 프랑스 대사를 역임한 주철기 유엔글로벌컴팩트 한국사무총장이 내정됐습니다.

또 박근혜 정부의 '창조 경제'를 뒷받침할 미래전략수석은 최순홍 전 유엔정보통신기술국장이 내정됐습니다.

고용복지수석에 인수위 고욕복지분과 간사를 맡고 있는 최성재 서울대 명예교수가, 그리고 교육문화수석에 여성문화분과 간사를 맡고 있는 모철민 예술의 전당 사장이 내정됐습니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이정현, 주철기, 조원동, 최성재, 모철민, 최순홍 /조선일보DB


[질문]

국무총리와 장관에 이어 청와대 비서진 인선도 마무리되면서 사실상 새 정부의 주요 인선이 완료된 건데요.

오늘 비서진 인선 어떻게 평가되고 있습니까?

[답변]

장관 후보자들이 전문가와 관료 등으로 전문성에 중점을 뒀다면, 청와대 비서진은 그야말로 대통령 보좌에 무게를 뒀다는 평가입니다.

오랫동안 함께 일해온 인사들을 기용하면서 당선인과의 호흡을 맞추며 일하는 것을 강조했다는 겁니다.

특히 허태열 비서실장과 이정현 정무팀장 등을 내정한 것은 정치권 등 외부와 소통하는 창구 역할도 강화하겠다는 뜻이 담겼다는 분석입니다.

이 내정자도 소견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특히 이런 점을 강조했는데요.

잠시 들어보시겠습니다.

[녹취:이정현, 청와대 정무수석 내정자]
"많은 의견과 지혜를 모으고 더 겸손하게 의견을 듣고 도움을 요청하면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뜻으로 알고 있습니다. 정무수석은 소통 수석이 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통령을 중심으로 정부와 여당, 특히 야당과 시민단체, 언론인 여러분의 생각을 읽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인수위원이 다수 포함된 것도 눈여겨 볼 점입니다.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 내정자 등 내각에 이어 유민봉 국정기획수석과 최성재 고용복지수석, 모철민 교육문화수석 등이 청와대에 고루 포진됐는데요.

인수위에서 마련한 국정과제 로드맵의 실천 과정을 새 정부에서도 직접 챙기면서 당선인의 국정철학을 이어가게 됐습니다.

최성재 고용복지수석의 소견도 잠시 들어보시겠습니다.

[녹취:최성재, 청와대 고용복지수석 내정자]
"당선인이 평소에 생각하는 한국형 복지국가 철학이 국정 전 분야에 스며들어서 복지가 이제는 과거처럼 전통적으로 현금을 나눠주고 단순히 어려운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게 아니라 이제는 우리의 경제 수준에 맞고 성장과 복지가 선순환하는 차원에서..."

[질문]

이제 새 정부의 주요 인선이 발표되면서 인수위 업무도 막바지에 다다른 것 같은데요.

[답변]

인수위는 그동안 부처별 업무보고와 국정과제 토론회 등을 통해 국정과제 로드맵을 설정하는 작업에 집중해왔습니다.

그 결과 박근혜 정부가 추진할 5대 국정목표와 140개 국정과제를 선정해 조만간 내용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와 관련해 박 당선인은 어제 국정과제 토론회에서, 국정 초기에 새 정부의 중요한 과제와 업무를 집중적으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초반에 추진력을 받지 못하면, 시간을 끌다 시행이 안되는 경우가 많다면서 취임 뒤 3개월이나 6개월 이내에 중요한 과제는 다 하겠다는 각오를 가져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국정과제 마련 작업이 사실상 마무리되면서 인수위는 오는 22일쯤 해단식을 열고 활동을 종료할 예정인데요.

박 당선인도 주요 인선 작업이 마무리되면서 대통령 취임사 등 취임준비에 전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금까지 삼청동 인수위원회에서 YTN 박기현입니다.(끝)

 

                                        7대 권력 기관장은 ?

 국가정보원장ㆍ감사원장ㆍ검찰총장ㆍ경찰청장 등 이른바 4대 사정기관장, 공정거래위원장ㆍ금융위원장ㆍ국세청장 등 3대 경제권력 수장이 그 대상이다.

  이들 기관장에 대한 인선은 오는 25일 대통령 취임식 이후로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

'정치 &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스의 교훈  (0) 2013.02.24
처칠 - Never Give Up !  (0) 2013.02.24
菁 비서실장 허태열  (0) 2013.02.18
빅토리아 여왕  (0) 2013.02.17
11개부처 장관후보 내정자 지명  (0) 2013.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