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 영화

이산 컬럼의 재테크 경제상식

리멘시타 2014. 11. 15. 19:01

 

 

                                         경제는 결국 소비 - 재태크방법

 

                                                     경제가 잘 굴러 가려면 무엇보다 소비가 중요하다.

                                    국민소득이 안정적으로 늘어나 소비가 증가하면 기업의 생산도 늘어나고

                                                        재투자도 활발해지며 고용도 증가한다.

 

                                      고용이 늘면 다시 소비가 늘어나고.....경제의 선순환이 일어난다.

                                      특히 서비스산업이나 복지관련 서비스 등 고용을 많이 일으키면서 

                                                          미래지향적인 산업을 육성하는 것이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키는 관건이 된다.

 

                                    이때 정부는 자원을 최적으로 배분해 경제 성장율을 끌어 올리는데 힘쓰고

                                    한국은행도 물가관리를 통해 국민생활을 안정시키는 것에 집중한다.

 

                                                   러나 성장과 안정, 2개의 목표가 충돌할 때가 있다.

                                    이때 정부는 두 마리 토끼 모두 잡을까?”와 같은 경제기사가 나오는데

                            정부와 한국은행이 물가관리에 실패해 소비자 물가가 크게 오르면 소비가 줄어들어 

                                                       선순환고리는 악순환고리로 바뀌게 된다.

 

 

                                              경기란 말은 국민경제의 전반적인 경제활동 상태이다.

 

                             가계, 기업, 정부의 생산, 소비, 투자, 고용 등의 실물경제뿐만 아니라 금융부문 그리고 

                                               수출입 등 거시경제 변수를 총망라한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경기는 장기적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면서 순환한다. 이것을 경기변동이라고도 한다.

                           경기순환은 대부분 회복기호황기후퇴기침체기4단계를 순차적으로 지나간다.

 

                                               왜 경기가 순환하는지 그 원인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다.

 

                                   케인즈는 기업가가 미래의 수익에 대해 어떻게 판단하느냐?에 따라 

                                          기업 투자가 늘거나 줄며 이로 인해 경기가 변동한다고 본다.

 

                       또 어떤이는 경제주체들의 합리적인 행동을 하드라도 가격에 대한 불안전한 정보로 인해 

                                                         경기변동이 일어난다고도 한다.

 

                           슘페터는 기술혁신으로 생산성 변화 등이 경기변동을 일으킨다고 한다.

          밀턴 프리드먼”(노벨상 수상) 등 통화주의자 들은 통화량이 늘거나 주는 것에 따라 화폐가치와 재산가치가

                                                     바뀌면서 경기 순환이 일어난다고 본다.

 

                                          그러면 우리나라의 경기순환 한바퀴는 얼마나 걸릴까?

                           통계청이 발표한 1970년 이후 경기 그래프상으로는 모두 9차례 순환한 것으로 나와 있다.

            여기에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경기반등을 포함하면 40년간 10차례이고 평균 4년마다 한바퀴씩 돈 셈이다.


                                 지금 우리나라의 경기 상황은 누가 봐도 호황기는 아니라고 판단할 것이다.

                                   그러면 침체기에 있다고 보면 거의 틀림이 없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경기 순환기에 따른 재태크 방법은 무엇일까?

 


  

                                          A(회복기) : "원유", 주식과 부동산,  등 분산투자

                                  B(호황기) : 주식은 팔고 채권매입

                                  C(후퇴기) : 채권 팔고, “실물”(, 구리)에 투자

                     D(침체기) : 실물은 팔고 예금, 현금을 확보해서 회복기 투자에 대비


                                       통상적으로 일반 서민들은 호황기에 주식과 부동산을 사고

                                       후퇴기에 주식과 부동산을 팔기 때문에 막차를 타기 쉽다.

                                  우리들은 이제 수입은 줄거나 없기 때문에 있는 재산이나 관리 잘 해서 

                                      최근 예상되는 정부 경제정책에 따른 경기 흐름을 파악하여

                                              적절한 대응과 투자에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생활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기 여행상식  (0) 2015.01.08
입냄새_ 치약도 원인  (0) 2014.12.09
약 안 먹고 당뇨 & 혈당치료  (0) 2014.10.08
발기부전의 6대원인  (0) 2014.10.02
病과 병원치료  (0) 2014.09.09